|
|
커먼레일 인젝터 제어장치
|
Click to enlarge image |

|
|
■ 커먼레일 시스템 제어기 DSPi-16C |
|
1. 주요특징
- 커먼레일 인젝터 전류제어
- 4종류 인젝터 제어 : 보쉬-D, 보쉬-A, 델파이, 덴소 인젝터
- Peak & Hold Type 전류제어 (각 사별 제어파형이 모두 다름)
- 6기통 인젝터 제어 : 단기통부터 6기통까지 선택 구동 (8기통 엔진의 경우 별도 문의)
- 각 기통별 5단계 분사파형 자유자재 생성 및 제거 (Pre-Pilot,Pilot,Main,Post,After-Post)
- 새로운 인젝터 타입 및 제어 파형의 경우 별도 문의
- PI방식 레일압력제어
- 인젝터제어와 펌프제어가 일체화
- 4종류 고압펌프제어 : 보쉬-D, 보쉬-A, 델파이, 덴소펌프 제어
- 4종류 레일압력센서 피드백 지원(전 운전영역 최대 ±10bar 리플 범위 내의 압력제어)
- PI제어방식에 의한 PWM 듀티/주파수 제어 (12V, 24V펌프 모두 지원)
- PC와 통신프로그램을 이용한 편리한 데이터 설정 및 모니터링 가능
- 5단계 분사파형에 대한 부하 vs 회전속도별 분사량 제어맵의 수정 및 저장 기능 제공
- 부하 vs 회전속도별 레일압력 제어맵의 수정 및 저장 기능 제공
- 엔진 운전중 회전속도와 레일압력 등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 모니터링 기능 제공
- 고장진단서비스
- Basic ECU 기능
- ECU와 동일하게 크랭크앵글센서(CAS)와 캠앵글센서(TDC) 방식의 센서입력 기능 (엔코더에 의한 분사시기 지정도 가능 - 별도 문의)
- 1번 실린더의 상사점을 기준으로 각 기통별 분사시기를 1도 단위로 지정할 수 있음.
- 각 실린더의 Main분사시기를 기준으로 Pilot과 Post 등의 분사시기도 지정할 수 있슴.
- 외부에서 APS센서에 해당되는 부하량에 대한 실시간 입력 지원
- 분사량제어맵과 레일압력제어맵의 변경이 가능하여 ECU없이도 엔진시험 및 개발을 용이하게 수행
- 표준형 사이즈
- 19인치랙 장착 가능한 표준사이즈 (3U)
- 미려한 외관 및 견고한 내구성의 커넥터 인터페이스
- 지속적인 고객 지원 서비스
- 현장 설치 및 시운전 서비스
- 무상 A/S기간 1년 (제품 자체 결함이 아닌 경우에는 실비 정산)
- PC소프트웨어와 컨트롤러 펌웨어의 지속적인 업데이트
- 활용 분야
- 자동차 회사 엔진개발시험실
- 커먼레일엔진 개발관련 연구소 또는 대학연구소
- 커먼레일디젤엔진 교육장비
- 커먼레일 인젝터 및 고압펌프 정비용 장비 제어용
|
2. 제품외관
외부와의 결선이 필요한 부분은 모두 뒷면에 배치하였으며, 전면부는 조작버튼과 상태LED 등만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간결하고 깔끔한 외관을 갖고 있다.

|
3. 각 제조사별 인젝터 제어파형 구현
국내에 보급된 커먼레일 디젤차량에는 Bosch사, Delphi사, Denso사의 인젝터가 적용되어 있으며, 본 인젝터컨트롤러는 한대로 전체 인젝터를 모두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아래 그림은 Bosch사, Delphi사, Denso사의 인젝터를 구동한 제어파형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나타낸 것이다.
|
4. 5단계 인젝션 파형 구현
커먼레일인젝션 자체의 기술발전과 함께 새로운 분사제어 기술들이 계속적으로 적용되고 있다. 최근 Bosch사를 비롯해서 각 ECU제조사들은 커먼레일 디젤엔진의 동력성능과 배출가스성능을 보다 향상하기위해 Pre-Pilot분사, Pilot분사, Main분사, Post분사, After-Post분사라는 5단계 분사를 한 개의 실린더구간에서 수행하는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.
본 컨트롤러는 이와 같은 연구시험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특별히 5단계 분사를 모두 구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. 아래 그림은 5단계 분사를 모두 구현한 뒤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나타낸 것이다.
|
5. 분사시기 결정방법
커먼레일 엔진의 시험을 위해서는 분사시기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기본이다. 본 컨트롤러는 ECU와 같은 방식의 분사시기 결정방법을 채택하고 있다. 즉, 캠과 크랭크의 앵글센서로 부터 현재 피스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고, 상사점 기준으로 절대각도와 상대각도를 이용하여 Main분사를 비롯한 5단계 분사시기를 모두 결정할 수 있다.
이와 같은 방법의 장점은 엔코더를 이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특별한 부가장치없이도 엔진의 절대각도를 알 수 있으며, 1도단위의 정교한 제어가 가능하다. 단, 1도보다 더욱 정교한 분사시기 조정이 필요한 경우는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.
아래 그림은 Pilot분사와 Main분사의 분사시기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이다.
|
6. 고압펌프제어
본 컨트롤러는 고압펌프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, 레일압력센서로 부터 압력값을 피드백받아 PCV 또는 DRV등의 고압펌프제어밸브를 열림량을 PI제어방식으로 조절하여 목표압력을 유지하는 방식이다. 밸브를 제어하기 위해 본 컨트롤러는 PWM듀티를 조절하는데, 일부 시스템에서는 PWM듀티이외에 PWM주파수를 제어하기도 한다.
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Bosch시스템과 Delphi시스템의 레일압력을 제어한 결과를 아래 그림에 나타내었다.
|
7. PC소프트웨어 (ICP)
ICP는 Injector Controller Programmer의 약자로 PC를 이용해서 본 인젝터컨트롤러의 제어변수를 변경하거나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PC용 소프트웨어이다. ICP는 크게 설정, 모니터링, 상태정보표시의 3가지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이 기능을 100% 잘 활용한다면 ECU와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게 된다.

|
8. ICP를 이용한 Look-Up Table구현
커먼레일 엔진 ECU는 매우 다양한 제어용 Look-Up Table을 내포하고 있는데 엔진을 구동하기위한 가장 기본적인 Table은 엔진 부하와 회전속도에 따른 연료분사량과 목표레일압력이 될 것이다. 본 컨트롤러는 5단계의 각 분사파형에 대해 엔진부하와 회전속도별 목표연료분사량 Table을 갖고 있으며, 또한, 목표레일압력 Table을 포함하면 총 6개의 Table을 편집, 저장이 가능하다.
변경된 Table을 컨트롤러의 Flash메모리에 쓰게 되면 컨트롤러의 전원을 껏다 켜도 ICP로 매번 갱신해 줄 필요없이 이전 설정값을 기억하게 된다.

|
9. 제품사이즈

|
10. 외부장치와 연결방법

|
11. 실 적용 사진

|
12. 인겍터컨트롤러의 모델분류체계

|
13. 제품구성
[ 기본 제공품 ]
- 컨트롤러 본체 1개
- AC전원케이블 1개
- 24V 30A 직류전원장치 1개
- 25V 전원케이블 1개
- 인젝터 케이블 1M 6개
- PCV 케이블 1개
- TDC 센서케이블 1M 1개
- CAS 센서케이블 1M 1개
- RPS 센서케이블 1M 1개
- APS 센서케이블 1M 1개
- 시리얼통신케이블 5M 1개
[ 옵션 제공품 ]
- TDC및 CAS 자동생성유닛
- TDC 및 CAS 자동생성유닛용 통신케이블 5M
- TDC 및 CAS 자동생성유닛용 수동조절케이블 1M
- APS 수동조절케이블 1M
- RPS 수동조절케이블 1M
상세 자료 또는 운전 데모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(sbko@monbiq.co.kr) 또는 대표전화(031-479-5850)로 요청해주십시요.
귀 사의 운전 조건에 따라 사양 변경 제작도 가능합니다. 많은 문의바랍니다.
|
|
|
|
|
|
|
|
|
|
|
|
|
|
 |
경기도 군포시 금정동 1-40 한림휴먼타워 206호 |
|
|
|
|